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37

골수염 골수염(osteomyelitis)은 혈행성 감염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발병한다. 성인보다는 소아나 청소년기 남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주로 농포성(pustule) 감염이 있을 때 혈행으로 전파되거나 개방성 골절 시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균은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이 약 80%를 차지하고 그 외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E. coli 등도 있다. 환자의 1/3에서 일차적 병소가 발견된다. 일차적 감염원은 주로 농포성 감염인데, 피하 농양(subcutaneous abscess), 내장 감염(visceral or serosa pus collection), 폐렴, 감염된 열상, 비인두염일 수도 있다. 빈도는 12세 미만의 남자(2~4배)에게 가장 많으나 어느 연.. 2024. 9. 25.
세균성 뇌막염 세균성 뇌막염은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연막과 지주막의 급성 감염으로 뇌척수액의 염증을 일으킨다. 세균성 뇌막염은 내과적인 응급상태이며,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원인균은 대개 상부 호흡기계를 통해 중추 신경계로 침투하거나 혈류를 따라 전파되고 머리뼈의 관통상, 기저부 두개 골절에 의해 직접 전파될 수도 있다. 뇌막염은 대개 가을, 겨울 혹은 이른 봄에 발생하고 종종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후 이차적으로 발생하며 노인과 쇠약한 사람에서 잘 발생한다. 연쇄상 폐렴구균과 나이지리아 수막염구균이 세균성 뇌막염을 일으키는 주여 원인균이다. 인플루엔자균은 과거 주요 원인균이었으나 백신의 사용으로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감염은 감소하였다. 염증에 대한 반응으로 뇌척수액의 생성이 증가하고 두개.. 2024. 9. 24.
호중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은 심한 호중구 감소(neutropenia)를 특징으로 하는 혈액 질환이다. 호중구는 감염균에 대한 일차적 식균작용을 발휘하는 백혈구이기 때문에 심하게 감소하면 급성의 치명적인 감염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대문에 임상에서는 호중구 감소의 정도를 감염에 대한 환자의 위험 지표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호중구는 전체 과립구의 93%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호중구 감소증과 무과립 세포증(granulocytopenia)이라는 용어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절대 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는 총 백혈구 수에 호중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곱게 얻어진다. 이때 호중구 수가 1,000~1,500/㎕ 이하로 감소하여 있으면 호중구 감소증으로 진단할 .. 2024. 9. 23.
적혈구 증가증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은 엄청나게 많은 수의 적혈구가 생산되어 혈액 내 순환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RBC>800만~1,200만/㎣, Hb>12~25g/dl). 적혈구 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혈액 점도와 혈액량이 증가하여 혈액 순환이 방해를 받게 된다. 적혈구 증가증에는 발생 기전에 따라 원발성, 이차성, 상대적 적혈구 증가증의 세 종류가 있다. 원발성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PV)은 단일 줄기세포에서의 염색체 변화로 발생하는 골수 증식성 장애로, 적혈구 뿐만 아니라 과립구와 혈소판을 포함한 세 혈구 세포의 증가를 동시에 동반하기 때문에 일종의 암 전구 병변으로 간주하고 있다. 50세 이상의 중년에서 잘 발생하고 특히 유대인에게 흔하다. 증상은 잠 행적으로 시작하여 만.. 2024. 9. 22.
인공관절 치환술 인공관절 치환술의 목적은 통증을 없애고 경화된 관절의 기능을 소생시켜서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고, 기형을 교정하여 관절의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인공관절 치환술이 가능한 부위는 고 관절, 주 관절, 지 관절, 턱, 무릎 등이다. 외상이나 골관절염인 경우 인공 관절 치환술은 매우 효과가 좋으나 류머티즘성 관절염 시는 다시 재발할 우려도 있고 결핵이나 화농성인 경우도 재감염의 가능성이 다소 있다. 성인이 있어서 근육 상태가 좋고 뼈의 과잉 증식이 없으면 예후가 좋다. 인공 관절 치환술의 문제점은 관절염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이 심해지고, 비골 내측 벽의 두께가 얇아지고 대퇴골이 약해진다는 점들이다. 수술 시기는 중년층으로 질환이 심하게 진행되었거나 관절 파괴가 경미할 때가 적절하다. 양측의 관절이 심히.. 2024. 9. 21.
림프종 림프종은 골수나 림프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악성 종양을 총칭하는데 주로 림프구의 조절할 수 없는 증식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림프종은 증식된 림프구의 형태와 분화 정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질환들이 포함된다. 진단은 커져 있는 림프 조직의 생검을 통해 확진하며 조직 소견에 근거하여 크게 호지킨병과 비 호지킨 림프종으로 대별한다. 즉, Reed-stern burg 세포의 유, 무에 따라 이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림프종을 호지킨병, 그리고 나머지 림프종은 비 호지킨 림프종으로 분류한다. 비 호지킨 림프종에는 림프육종, 세망세포육종, Burkitt's 림프종 등이 포함된다. 어느 형태에서나 림프 조직의 비대가 공통으로 나타나나 질환에 따라 임상 소견이나 치료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호지킨병(H.. 2024. 9. 20.
728x90